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mithery ai
- 셀프 호스팅
- logsdb
- ai assistant
- 퍼블릭 서브넷
- 고가용성 아키텍처
- openrouter
- ec2 복제
- coolify
- n8n 사용법
- n8n
- AI 코딩
- vercel 대안
- elastic observability
- elasticsearch
- 워크플로우 자동화
- cursor ide
- 프라이빗 서브넷
- n8n 튜토리얼
- n8n 설치
- 개발 생산성
- gitlab ci/cd
- sequential thinking mcp
- observability
- ai 에이전트
- node.js
- 설치 가이드
- Docker
- colima
- 튜토리얼
- Today
- Total
목록2025/06 (44)
여행하는개발자

핵심 요약: 본 문서는 Google의 명령줄 AI 도구인 Gemini CLI의 설치부터 기본 실행까지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이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는 터미널 환경에서 Gemini AI 모델을 활용하는 기본적인 사용법을 습득할 수 있다.Gemini CLI는 터미널 환경에서 Gemini의 강력한 AI 모델을 직접 활용하여 코드베이스 쿼리, 애플리케이션 생성, 워크플로우 자동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이다. 본 문서는 이러한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고, 명확한 절차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0. 시작 전 준비 사항본 튜토리얼을 진행하기에 앞서, 아래의 개발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Node.js: v18.0 이상..

핵심 요약: 본 문서는 오픈소스 코딩 AI 모델 'DeepCoder'의 개념과 성능을 소개하고, Hugging Face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직접 모델을 로드하고 실행하는 전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이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는 강화학습으로 훈련된 고성능 AI 코딩 모델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습득할 수 있다.폐쇄적인 상용 AI 모델이 주도하는 현재 기술 환경에서 "오픈소스로 과연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항상 존재해왔다. 최근 Agentica 프로젝트의 DeepCoder가 이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했다. OpenAI의 o1 모델을 능가하는 성능을 입증하며, 강화학습(RL)의 대중화를 목표로 모든 학습 과정과 자원을 투명하게 공개하였다.본 문서는 DeepCoder가 무엇이..

[LG 코드제로 로보킹, 정말 '청소 해방'일까?] 흡입+물걸레 동시 청소는 물론, 자동 세척, 건조, 급수, 먼지 비움까지! LG 코드제로 AI 오브제컬렉션 로보킹 올인원의 모든 것을 파헤쳐봅니다. 이 글 하나로 모든 궁금증이 풀릴 거예요!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퇴근 후 지친 몸을 이끌고 집에 왔는데, 바닥에 쌓인 먼지와 머리카락을 보면 한숨부터 나오는 경험 말이죠. 저도 그랬어요. 😅 특히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분들이나 어린 자녀가 있는 집이라면 매일매일 청소하는 것이 큰 숙제처럼 느껴질 거예요. 청소는 해도 해도 끝이 없고, 물걸레질까지 하려면 허리도 아프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정말 청소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다는 생각을 간절히 했답니다.그러던 중, 드디어 청소의 신세계를 열어줄 제품을 만나..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의 핵심 스토리지 서비스인 Amazon S3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한다. 실습을 통해 S3 버킷을 생성하고, 정적 콘텐츠(HTML, 이미지)를 업로드하며, 버킷 정책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퍼블릭 액세스를 허용한 후, S3의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기능을 활성화하는 전 과정을 상세히 안내한다.웹 서버를 운영하지 않고 웹사이트를 호스팅할 수 있다면 어떨까?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는 이러한 '서버리스(Serverless)' 아키텍처를 가능하게 하는 AWS의 대표적인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S3는 사실상 무한한 확장성과 99.999999999%(11-nines)라는 경이적인 데이터 내구성을 제공하여, 단순 파일 저장소를 넘어 데이터 레이크, 백업..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mazon EC2 Auto Scaling의 핵심 개념과 이점을 설명하고, 실제 애플리케이션 부하에 따라 EC2 인스턴스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 과정을 안내한다. 시작 템플릿 생성부터 Auto Scaling 그룹 설정, 조정 정책 구성, 그리고 부하 테스트를 통한 동작 검증까지 상세하게 다룬다.지금까지 우리는 고가용성을 위해 다중 AZ에 걸쳐 웹 서버를 배포하고 로드 밸런서로 트래픽을 분산시켰다. 하지만 트래픽이 급증하거나 급감할 때마다 관리자가 직접 인스턴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해야 한다면, 이는 진정한 의미의 클라우드 탄력성(Elasticity)이라 할 수 없다. Amazon EC2 Auto Scaling은 이러한 수동 개입을 제거하고, 정의된 정책에 따라 애..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의 핵심 모니터링 서비스인 CloudWatch와 메시징 서비스인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의 개념을 설명한다. 실습을 통해 EC2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을 감시하는 CloudWatch 경보를 생성하고, 임계값 초과 시 SNS 주제(Topic)를 통해 이메일 알림을 자동으로 발송하는 전 과정을 안내한다.안정적인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의 핵심은 '관찰 가능성(Observability)'을 확보하는 것이다.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넘어, 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AWS는 이를 위해 강력한 모니터링 및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Amazon CloudWatch는 우리 인프라의 ..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의 Elastic Load Balancing(ELB), 특히 Application Load Balancer(ALB)의 핵심 개념을 설명한다. 다중 가용 영역에 배포된 EC2 인스턴스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해 ALB, 리스너, 대상 그룹을 생성하고 구성하는 전 과정을 안내하며, 백엔드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는 필수 설정까지 다룬다.지금까지 우리는 두 개의 다른 가용 영역에 웹 서버 인스턴스를 각각 배포하여 장애에 대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두 서버의 IP 주소를 모두 알고 직접 접속해야 한다면, 이는 진정한 고가용성 아키텍처라 할 수 없다. AWS Elastic Load Balancing(ELB)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지능형 교통 관제사'이다. ELB는..

핵심 요약: 본 문서는 이전에 생성한 사용자 지정 AMI(Amazon Machine Image)를 기반으로 새로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한다. 이 실습을 통해 AMI의 재사용성을 확인하고, 다른 가용 영역에 인스턴스를 배포하여 다중 AZ(Multi-AZ) 기반의 고가용성 아키텍처를 완성하는 방법을 다룬다.이전 단계에서 우리는 모든 소프트웨어와 설정이 완료된 '골든 이미지'로서 사용자 지정 AMI를 생성하였다. 이제 이 AMI의 진정한 가치를 활용할 차례이다. AMI를 사용하면 검증된 서버 구성을 그대로 복제하여, 수동 설정 과정 없이 신속하고 일관되게 새로운 인스턴스를 배포할 수 있다. 본 가이드에서는 생성된 AMI를 이용하여 두 번째 웹 서버(webserver 2)를 다른 가용..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 EC2 인스턴스 배포의 핵심인 AMI(Amazon Machine Image)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구성이 완료된 EC2 인스턴스로부터 사용자 지정 AMI를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하고, 이를 활용한 스케일 아웃, 재해 복구 등 전략적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효율적인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는 '반복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Amazon Machine Image(AMI)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도구이다. AMI는 서버 운영에 필요한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설정 등을 하나의 '마스터 이미지' 또는 '서버 템플릿'으로 패키징한 것이다. 이를 통해 수동으로 서버를 반복 설정하는 대신, 검증된 템플릿을 사용하여 동일한 ..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의 핵심 컴퓨팅 서비스인 EC2(Elastic Compute Cloud)의 기본 개념과 주요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웹 서버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구성하고, AMI(Amazon Machine Image)를 통해 해당 서버를 복제하는 전 과정을 단계별 실습으로 안내한다.클라우드 컴퓨팅의 심장은 단연코 '컴퓨팅 파워'이다.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는 개발자가 물리적 하드웨어에 대한 고민 없이, 필요에 따라 가상 서버를 몇 분 만에 생성하고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해주는 AWS의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EC2를 통해 사용자는 운영체제부터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이르기까지 서버 환경에 대한..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의 핵심 보안 요소인 보안 그룹(Security Group)의 개념과 역할을 설명한다. 특히 상태 저장(Stateful) 특성과 네트워크 ACL과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웹 서버용 보안 그룹을 직접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하여 인스턴스 수준의 네트워크 보안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클라우드 환경에서 리소스의 보안을 확보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AWS는 이를 위해 여러 계층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며, 그중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것이 바로 보안 그룹(Security Group)이다. 보안 그룹은 EC2 인스턴스에 대한 가상의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며, 인스턴스로 들어오고 나가는 트래픽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적절한 보안 그룹 설정은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차..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WS VPC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핵심 요소인 라우팅 테이블의 기본 개념과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또한, 서브넷과 라우팅 테이블의 연결을 편집하는 실습을 통해 퍼블릭 및 프라이빗 서브넷을 구성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관리 모범 사례를 제시한다.AWS VPC 환경에서 서브넷을 생성하는 것만으로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완벽하게 정의할 수 없다. 트래픽이 서브넷 내부와 외부로 어떻게 흐를지를 결정하는 '교통 관제사' 역할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라우팅 테이블(Route Table)이다.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을 통해 특정 서브넷을 인터넷과 연결된 퍼블릭 환경으로 만들거나, 외부와 격리된 프라이빗 환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문서는 라우팅 테이블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