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vercel 대안
- logsdb
- n8n 튜토리얼
- 설치 가이드
- 셀프 호스팅
- 고가용성 아키텍처
- n8n 사용법
- node.js
- 퍼블릭 서브넷
- n8n 설치
- ai assistant
- Docker
- 개발 생산성
- 튜토리얼
- n8n
- 워크플로우 자동화
- sequential thinking mcp
- elastic observability
- 프라이빗 서브넷
- elasticsearch
- openrouter
- ec2 복제
- colima
- ai 에이전트
- gitlab ci/cd
- smithery ai
- observability
- AI 코딩
- cursor ide
- coolify
- Today
- Total
목록기술 (40)
여행하는개발자

핵심 요약: 본 문서는 GitLab CI/CD를 활용하여 `main` 브랜치에 변경 사항이 머지될 때, 해당 내용이 `dev` 브랜치로 자동으로 역방향 머지(Merge-Back)되는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자동화를 통해 브랜치 간의 정합성을 유지하고, 수동 작업으로 인한 실수를 줄여 개발 워크플로우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많은 개발팀이 Git-Flow와 같은 브랜치 전략을 사용한다. `feature` 브랜치에서 개발한 기능이 `dev`를 거쳐 최종적으로 `main`(또는 `master`) 브랜치에 반영되는 흐름이다. 하지만 운영 중에 발생하는 긴급한 핫픽스(Hotfix)는 `main` 브랜치에 직접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main` 브랜치의 최신 코드가 `dev` 브랜치에..

핵심 요약: 본 문서는 MCP 순차적 사고(Sequential Thinking)와 OpenRouter를 결합하여 개발 워크플로우를 혁신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전문 AI 에이전트 팀처럼 여러 AI 모델을 협력시켜 복잡한 코딩 과제를 해결하는 원리부터, Cursor IDE 환경 설정, 실제 워크플로우 생성까지의 전 과정을 상세히 다룬다.전문 AI 에이전트 팀에 의해 코드가 제작되는 개발 환경을 상상해 보자. Claude는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Gemini는 테스트를 작성하며, DeepSeek는 기능을 완벽하게 구현하는, 모두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작업하는 환경 말이다. 이는 더 이상 미래의 환상이 아니며, MCP 순차적 사고와 OpenRouter의 결합을 통해 현실이 되었다. 이 가이드는 복잡한 프로젝트를 ..

핵심 요약: 본 문서는 Windows 환경에서 MCP Sequential Thinking을 활용한 코딩 방법론을 상세히 다룬다. 개념 이해부터 Cursor IDE와 OpenRouter를 이용한 실제 환경 구축, 그리고 워크플로우 작성 및 실행까지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여 사용자가 해당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MCP (Model Context Protocol) Sequential Thinking은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인공지능 모델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다. 본 문서는 이러한 MCP Sequential Thinking의 개념을 이해하고, Windows 환경에서 실제 코딩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하여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I 코드 에디터 Cursor에서 OpenRouter API 키를 사용하여 Sequential Thinking을 포함한 MCP 서버를 설치하고 활성화하는 전 과정을 상세히 다루는 실습 가이드이다. 실제 설치 과정에서 겪은 문제와 해결책, 특히 설정 메뉴에서의 활성화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여 독자의 설치 성공을 돕는다.최신 AI 코딩 기법의 트렌드로 떠오르는 'Model Context Protocol(MCP)'는 AI가 코드의 맥락을 더 깊이 이해하게 해주는 강력한 프레임워크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Sequential Thinking'은 복잡한 요구사항을 순차적으로 사고하여 해결하는 능력을 AI에 부여한다. 특히 코드를 작성하기 전 머릿속으로 구조를 잡는 '입코딩' 단계에..

핵심 요약: 본 문서는 @modelcontextprotocol/server-sequential-thinking의 실체와 목적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AI 기반 코드 에디터, 특히 Cursor의 백엔드 구성 요소로 추정되는 이 서버의 실행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고, 'Model Context Protocol'과 '순차적 사고(Sequential Thinking)'의 개념을 소개하며, 표준 입출력(stdio) 기반의 동작 원리와 실제 활용 시나리오를 상세히 탐구한다. 개발 생태계에서 'Sequential Thinking MCP'라는 이름은 생소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용도의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제공한 npx -y @modelcontextprotocol/serve..
핵심 요약: 본 문서는 n8n 챗봇에 Groq의 초고속 언어 모델(LLM)을 연동하고, Redis를 활용하여 대화 내용을 기억하게 만드는 'Memory' 구현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한다. 이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는 단순 응답을 넘어, 이전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는 지능형 챗봇을 구축할 수 있다.이전 가이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챗봇의 '입'을 만들었다면, 이제는 그 입력을 이해하고 생각하는 '뇌'와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기억력'을 추가할 차례이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놀라운 속도를 자랑하는 Groq의 무료 AI 모델을 연동하고, 대화의 맥락을 유지하는 핵심 기능인 'Memory'를 설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다룬다.1단계: Groq API 키 발급받기GroqCloud는 Llama, Mixtral, Gemma..

핵심 요약: 본 문서는 n8n에서 웹 기반 챗봇을 만들기 위한 핵심 트리거, 'When chat message received' 노드의 모든 설정 항목을 상세히 분석한다. 또한, 실제 챗봇 실행부터 n8n 워크플로우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까지의 전체 흐름을 시각 자료와 함께 설명한다.n8n은 단순히 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반복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챗봇까지 직접 구축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 시작점이 바로 'When chat message received' 트리거 노드이다. 이 노드는 별도의 서버나 복잡한 설정 없이, 고유한 URL을 가진 웹 채팅창을 즉시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워크플로우의 시작 신호로 사용하게 해준다.1. 'When chat message ..

핵심 요약: 본 문서는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 N8N과 생산성 도구 Notion을 연동하는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는 Notion API 설정을 완료하고 N8N 워크플로우에서 Notion 데이터를 자유롭게 읽고 쓰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N8N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Notion을 N8N에 연동하면,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를 Notion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추가하거나, Notion의 변경 사항을 트리거로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등 무한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문서는 이 연동 과정의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0. 시작 전 준비 사항본 튜토리얼을 진행하기에 앞서, 아래..

핵심 요약: 본 문서는 Git-flow 또는 유사한 브랜치 전략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릴리즈 브랜치(main)의 변경 사항을 개발 브랜치(dev)로 자동으로 역머지(Reverse-Merge)하는 GitLab CI/CD 파이프라인 구축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이를 통해 수동 머지 작업을 제거하고 브랜치 간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많은 개발팀이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릴리즈를 위한 main 브랜치와 기능 개발을 위한 dev 브랜치를 분리하여 관리한다. 그러나 릴리즈가 완료된 후 main 브랜치에 적용된 최종 변경사항(예: 긴급 핫픽스, 버전 정보 업데이트)을 다시 dev 브랜치로 가져오는 작업은 번거롭고 잊기 쉬운 과정이다. 이 수동 역머지 과정이 누락되면 두 브랜치 간의 차이가 누적되어 추후 개발 ..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I 기반 코드 에디터 Cursor에서 Colima, Docker 등 로컬 셸 명령어를 직접 실행하기 위해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Python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JSON-RPC 2.0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이를 Cursor 설정에 연동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다룬다.AI 코드 에디터 Cursor는 개발 과정에서 매우 강력한 도구이지만, colima start나 docker ps와 같은 로컬 환경의 명령어를 실행하려면 별도의 터미널 창을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Cursor의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능을 활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에디터 내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다. 하..

핵심 요약: 본 문서는 스프링 배치(Spring Batch) 실행 중 배포 시 발생하는 ClassNotFoundExcep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를 활용한 무중단 배포 전략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이 가이드를 통해 안정적인 배치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스프링 배치 Job 실행 중에 새로운 버전의 JAR 파일이 배포되면서 발생하는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또는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는 많은 개발자가 직면하는 문제이다. 이로 인해 배치 Job은 비정상적으로 중단되고 데이터 정합성 문제까지 야기할 수 있다. 본 문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0..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I 코딩 어시스턴트 Cursor AI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n8n MCP(Microservice Communication Protocol) 서버 워크플로우의 생성 및 연동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이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는 Webhook을 이용하여 n8n을 외부 서비스의 백엔드로 활용하는 기본 원리를 습득할 수 있다.n8n을 활용한 자동화는 보통 여러 서비스의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지만, Webhook 노드를 사용하면 외부 요청을 수신하는 강력한 서버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문서는 AI 코딩 어시스턴트인 Cursor AI가 n8n 워크플로우를 원격으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n8n을 MCP 서버로 설정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안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0. 시작 전 준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