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9 21:02
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여행하는개발자

Coolify 설치부터 실행까지, 초보자를 위한 셀프 호스팅 PaaS 구축 가이드 본문

기술

Coolify 설치부터 실행까지, 초보자를 위한 셀프 호스팅 PaaS 구축 가이드

스타스토리. 2025. 6. 15. 22:03
반응형
TL;DR: 이 글은 내 개인 서버에 Vercel이나 Netlify 같은 PaaS(Platform as a Service)를 직접 구축하는 Coolify 설치 과정을 다룬 글이야. 결론부터 말하면 curl -fsSL https://cdn.coollabs.io/coolify/install.sh | bash 명령어 하나면 설치는 끝나. 바쁜 사람은 이것만 기억해도 좋아.

혹시 Vercel이나 Heroku 같은 플랫폼 쓰다가 월말에 요금 청구서 보고 깜짝 놀란 경험 없어? 난 얼마 전에 사이드 프로젝트 몇 개 돌렸다고 생각보다 높은 금액이 나와서 '아, 내 서버에 직접 이런 환경을 만들어볼 순 없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 그래서 찾게 된 게 바로 Coolify야. 나처럼 저렴하게, 하지만 강력하게 나만의 PaaS를 구축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설치부터 실행까지 모든 과정을 여기에 공유해볼게! 😊

1. Coolify, 이게 대체 왜 좋은 건데? 🤔

먼저 Coolify가 뭔지부터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 쉽게 말해 '셀프 호스팅이 가능한 Heroku/Vercel'이라고 생각하면 돼. 보통 내 앱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서버에 배포하려면 Nginx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 설치하고, Docker 설정하고... 할 일이 태산이잖아? Coolify는 이런 복잡한 서버 관리 작업을 대신해주고, 나는 그냥 코드만 푸시하면 알아서 배포, 관리까지 해주는 멋진 녀석이야. 오픈소스라 무료인 건 물론이고!

💡 알아두면 좋은 점!
Coolify는 웹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PostgreSQL, MySQL, MongoDB 같은 데이터베이스나 WordPress, Ghost 같은 서비스도 클릭 몇 번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완전 만능이지.

2. 설치 전 준비물 📋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전에, 우리 서버가 Coolify를 맞이할 준비가 됐는지 확인해보자. 아래 사양들이 최소 권장 사양이야.

  • 신선한 Ubuntu 서버: Ubuntu 20.04 또는 22.04 버전을 추천해. 다른 리눅스도 지원하지만, 이왕이면 공식 추천 OS를 쓰는 게 좋겠지?
  • 서버 사양: 최소 2 vCPU, 2GB RAM, 30GB 저장 공간은 확보해주는 게 좋아. 쾌적하게 쓰려면 이 정도는 필수!
  • 루트(Root) 권한: 서버 설정을 변경해야 하니 당연히 필요하겠지? sudo 명령어를 쓸 수 있으면 돼.
  • 도메인 (선택 사항이지만 강력 추천): IP 주소로만 쓸 수도 있지만, 제대로 된 서비스를 운영하려면 도메인을 연결하고 HTTPS 인증서를 발급받는 게 좋아.

3. 진짜 설치하기 🛠️

자, 이제 준비물을 다 챙겼으니 본격적으로 설치를 시작해보자. 터미널을 열고 따라 해줘.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정이니까 집중해서 봐줘.

3.1. 서버 업데이트 및 curl 설치

먼저 서버에 접속해서 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만들고,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받을 때 필요한 curl을 설치할 거야.

# 루트 권한으로 전환
sudo -i

#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및 시스템 업그레이드
apt update && apt dist-upgrade -y

# curl 설치 (이미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어)
apt install curl -y

3.2. Coolify 설치 스크립트 실행

이제 대망의 Coolify 설치야.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 붙여넣고 엔터를 누르면 끝! 정말 간단하지?

curl -fsSL https://cdn.coollabs.io/coolify/install.sh | bash

스크립트가 실행되면서 필요한 Docker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알아서 다 설치해 줄 거야. 설치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아래와 비슷한 메시지를 보게 될 거야.

Congratulations, Your Coolify instance is ready to use. Please visit http://서버_IP:8000 to get started.
⚠️ 이건 진짜 주의해야 해!
설치가 완료되면 Coolify는 8000번 포트를 사용해. 만약 서버 방화벽(UFW 등)을 사용 중이라면 8000번 포트를 열어줘야 접속할 수 있어. sudo ufw allow 8000 명령어로 열 수 있어.

4. Coolify 계정 생성 및 도메인 설정 ✍️

이제 웹 브라우저를 열고 http://내_서버_IP:8000 주소로 접속해봐. Coolify 초기 설정 화면이 우리를 반겨줄 거야.

여기서 앞으로 Coolify 대시보드에 로그인할 때 사용할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계정을 만들면 돼. 비밀번호는 꼭 안전하게 보관해둬!

(선택) 도메인 연결하기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했다면, 이제 IP 주소 대신 예쁜 내 도메인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해보자. 먼저 도메인을 구입한 곳(가비아, Cloudflare 등)의 DNS 설정으로 가야 해.

그리고 아래처럼 2개의 A 레코드를 추가해줘. IP 주소는 당연히 내 Coolify 서버 IP를 넣어야겠지?

타입 이름 값 (콘텐츠) 설명
A @ 내_서버_IP_주소 루트 도메인 연결 (예: mydomain.com)
A * 내_서버_IP_주소 모든 서브도메인 연결 (예: app.mydomain.com)

DNS 설정이 끝났으면 Coolify 대시보드의 Settings 메뉴로 이동해서, Instance Domain 항목에 내 도메인(예: coolify.mydomain.com)을 입력하고 저장해줘. Coolify가 알아서 Let's Encrypt로 HTTPS 인증서까지 발급해 줄 거야. 몇 분 정도 기다렸다가 설정한 도메인으로 접속해보면 멋지게 HTTPS가 적용된 걸 볼 수 있어!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

자, 지금까지 Coolify를 내 서버에 직접 설치하고 기본 설정까지 마쳐봤어. 정리하자면, 이건 비싼 PaaS 요금에서 벗어나 내 서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을 때 정말 유용한 도구야. 처음엔 좀 낯설 수 있지만, 한번 구축해두면 앞으로 개발하고 배포하는 과정이 정말 편해질 거야.

이제 대시보드를 둘러보면서 GitHub 레포지토리를 연결해서 앱을 배포해보거나, 클릭 몇 번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봐. 아마 신세계를 경험하게 될걸? 혹시 글 보다가 막히거나 더 궁금한 점이 생기면, 주저하지 말고 댓글로 물어봐 줘! 그럼 이만. 😊

 
💡

이 글의 핵심 요약

✨ 왜 써야해?: Vercel 같은 비싼 플랫폼 대신, 내 서버에서 저렴하게 앱/DB를 호스팅하기 위해.
🛠️ 어떻게 써?: curl로 설치 스크립트 실행하고, 웹 UI에서 초기 설정 진행.
⚠️ 주의할 점: 설치 후엔 http://서버IP:8000으로 접속! 도메인을 쓰려면 DNS 설정이 필수야.

자주 묻는 질문 ❓

Q: 꼭 도메인이 있어야 해?
A: 아니, IP 주소만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어. 하지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거나 실제 서비스를 운영할 거라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을 연결하고 HTTPS를 적용하는 걸 강력하게 추천해. 보안과 신뢰도 면에서 훨씬 좋거든.
Q: Hetzner 말고 다른 클라우드 서버에서도 설치할 수 있어?
A: 당연하지! 이 글에서는 Hetzner를 예로 들었지만, Ubuntu 20.04/22.04가 설치되는 서버라면 어디든 괜찮아. AWS, Google Cloud, Vultr, Linode 등 네가 선호하는 아무 클라우드에서나 이 가이드를 따라 할 수 있어.
Q: 설치하다가 오류가 나면 어떡해?
A: 좋은 질문이야. 가장 먼저 할 일은 설치 로그를 꼼꼼히 읽어보는 거야. 보통 원인이 나와있거든. 그래도 해결이 안 되면, Coolify 공식 GitHub나 Discord 채널에 질문하는 게 가장 빨라. 보통은 깨끗하게 새로 설치한 서버에서 다시 시도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아.
반응형